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액트
- SasS
- 참조자료형
- 자바스크립트
- react-router
- git
- 코딩독학
- 코린이
- scss
- 코딩공부
- useEffect
- 리액트 네이티브
- 코딩기초
- 깃
- redux
- async
- http
- 코딩초보
- JavaScript
- Vue3
- CSS
- react
- 비동기
- React Native
- TypeScript
- html기초
- 리덕스
- 프론트엔드
- 타입스크립트
- 사용하는 이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6)
맨 땅에 프론트엔드 개발자 되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L9Hv/btrkkXEjTiv/KGvSDwcP6aYKP8KtH0b8N0/img.png)
박스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에 이어서 박스를 배치하는 방법에는 display와 position 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한다. Position 포지션의 속성값에는 아래와 같은 속성들이 있다. static: 디폴트 값이며, 아무런 포지션 값을 변경하지 않은 상태. absolute: 절대 값을 의미하며, 부모의 위치값이 지정되지 않았을 때는 웹페이지를 기준으로 위치값을 잡고, 부모의 위치값이 조정되었을 경우에는 부모 요소가 기준이 된다. fixed: 고정되었다는 뜻이며, 스크롤을 내려도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웹페이지를 기준으로 위치값을 잡는다. relative: 상대 값을 의미하며, 부모 요소 혹은 부모 요소가 없을 경우 인접한 요소를 기준으로 위치값을 잡는다. sticky: 지정된 오프셋 값에 스크롤이 움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wjQq/btrkfYcetmi/zBEuobPmDzCn1LfqyhabC0/img.png)
CSS 박스 모델 (Box Model) 웹 페이지를 만들 때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박스 모델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각각의 태그들은 태그 자신이 화면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 영역은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된다. border: 태그(컨텐츠)를 둘러싸고 있는 선. padding: 컨텐츠와 border 사이의 간격. margin: border를 기준으로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의 사이의 간격. 이렇게 border, padding, margin 세 개의 개념만 제대로 가지고 있으면 박스모델은 전혀 어렵지 않다. 컨텐츠를 둘러싸고 있는 각각의 공간을 조정해서 크기를 조절하고 이걸을 제대로 배치할 수 있으면 레이아웃 구성은 끝이기 때문이다. 배치하는 방법은 다음에 공부할 예정이고, 먼저 박스 크기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bLJ9/btrjRjGckoA/xPYKt6shrImV8IYDLIKf60/img.png)
CSS 문법에서 크기를 설정하는 방식은 크게 3가지가 있다. 1. 고정 단위 - px, cm 등 단위로 입력하는 방법 2. 상대적 단위 - %, em, fr 등으로 입력하는 방법 3. 화면비 - vh, vw 으로 입력하는 방법 고정 단위 px는 우리가 알고 있는 컴퓨터의 픽셀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height: 200px 이면, 높이를 200픽셀로 설정하겠다는 의미다. px, cm, mm 등은 우리가 실생활에서 익숙하게 쓰는 고정된 단위로 px이 컴퓨터와 호환이 가장 높은 단위기 때문에 주로 cm, mm 보다는 px이 많이 쓰여지게 된다. 상대적 단위 %, em, fr은 모두 부모 요소에 따른 상대적 단위를 의미한다. %는 선택자가 속해있는 부모 요소 중에서의 비율을 의미하고, em도 동일하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9Z73/btrjPFQLyIl/gVhClMoQZHnfQyJbKYKBk0/img.png)
CSS 문법에서 컬러는 입력하는 방법은 4가지가 있다. 1. Color Name 2. RGB 3. HEX 4. HSL Color Name 제일 쉽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컬러 이름으로 지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색을 이름으로 불러 지정하기 어렵듯이 CSS 기본 문법에서 제공하는 컬러 이름은 가짓수가 한정적이다. 어떤 컬러 이름이 제공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 클릭! https://www.w3schools.com/colors/colors_names.asp HTML Color Names W3Schools offers free online tutorials, references and exercises in all the major languages of the web. Covering p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9EsRk/btrjQfcTvg8/ZsCXC5o8IuSgMwBUPFqYkk/img.gif)
CSS (Cascading Style Sheets) 기존의 html 문서는 디자인 요소를 넣으려면 html 문서마다 디자인 요소를 적용해줘야했다. 그러나 디자인 요소가 변경될 때마다 그 방대한 문서를 모두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고, 디자인 요소를 가진 파일만 CSS라는 문법으로 따로 분리하여 관리하니 유지 보수가 매우 쉬워졌다. CSS 파일은 .css 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html 문서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link 태그를 head 영역에 넣어주며, rel 속성으로 stylesheet이라는 것을 알려주며, href 속성에 연결할 css파일의 주소를 적어준다. CSS 파일 안에는 보통 '선택자'라고 부르는 CSS를 적용할 요소를 지정해서 중괄호{} 안에 적용할 요소를 적는다. Selector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w1GY/btrjO3xoVBi/humKQGWetIQZcY8lEiaxYK/img.png)
HTML 문서는 보통 HTML 태그로 문서 구조를 짠 뒤에 CSS로 HTML 문서에 디자인 속성을 넣어주고, JAVASCRIPT로 동적 구현을 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확장자를 .html .css .js 로 문서를 3개 만들어 css파일과 js파일을 html파일과 연결시켜 주는데, css파일과 js파일에서 html 문서의 어떤 것을 선택해 속성을 지정해주고 싶을 때 id와 class가 필요하게 된다. 말로 설명하려니 어렵네.. 바로 예제를 보자. 예제 연습 div로 지정된 4개의 네모가 오른쪽 브라우저에 표시된다. 4개의 div에는 class가 지정되어 있고, 맨 마지막 div에만 id가 지정되어 있다. example.css 문서를 보면 background 컬러가 지정되어 있는데 각기 다른 ..